
|
|
한 국제 관계 전문가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의 주권을 위협하는 발언을 멈출 때까지 오타와가 차기 미국 대사의 신임을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빅토리아 대학교의 윌 그리브스(Will Greaves) 국제 관계 교수는 캐나다 정부가 강경한 입장을 보이며 이러한 논의가 “환영받지 못하는 대화”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가 추진하는 정책은 노골적이고 공격적입니다. 캐나다가 국가로서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면, 이를 적대적 행동으로 간주하고 강경 대응에 나서야 합니다.”
트럼프, ‘캐나다 합병’ 발언 계속… 오타와 긴장 트럼프는 최근 몇 주 동안 캐나다를 미국의 일부로 편입하는 가능성을 여러 차례 언급하며, 경제적 압박을 통해 이를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 금요일,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기업 지도자들과의 회의에서 트럼프가 캐나다의 자원 및 경제적 가치를 이유로 실제로 합병을 고려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이에 앞서 트럼프는 캐나다 자동차 산업을 폐쇄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캐나다 경제를 흔들 수 있다며 위협하기도 했다. “미국 없이는 캐나다도 없습니다. 캐나다의 경제는 미국과의 무역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차기 미국 대사 임명 거부? 캐나다의 대응 카드 미국은 작년 11월, 미시간주 하원의원 출신 피트 훅스트라(Pete Hoekstra)를 캐나다 주재 차기 미국 대사로 임명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그리브스 교수는 캐나다가 트럼프의 합병 발언이 중단될 때까지 훅스트라의 신임장을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대사 임명을 거부하면 트럼프가 주요 지지자에게 줄 수 있는 중요한 정치적 후원 임명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질 것입니다. 이는 캐나다가 심각하게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그리브스는 캐나다가 만약 러시아나 다른 국가로부터 비슷한 주권 위협을 받았다면 대사 임명을 거부했을 것이라며, 미국에 대해서도 동일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미국이라는 이유로 대응 기준을 바꿔서는 안 됩니다. 주권을 지키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분명히 해야 합니다.”
G7 정상회의 초청도 재검토해야 그리브스 교수는 6월 캐나다 앨버타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서 트럼프를 초청하는 것 역시 재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캐나다의 주권을 공개적으로, 반복적으로,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국가 원수를 G7 회담에서 영예로운 손님으로 맞이할 이유가 없습니다.”
캐나다가 이러한 대응에 나설 경우 미국의 보복 조치 가능성이 있지만, 그리브스 교수는 “주권을 지키기 위한 대가”라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가 결정한 우리의 독립에 대한 대가입니다.”
외교적 대응의 선례… 캐나다는 과거에도 강경 대응한 적 있어 대사 임명을 거부하는 것은 외교적으로 상당히 강경한 조치이지만, 캐나다는 과거에도 특정 국가에 대해 강경 대응을 한 전례가 있다. -2023년: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정치적 요원’들이 캐나다에서 활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외교 비자 발급을 차단했다. -2018년: 캐나다 정부는 영국에서 발생한 러시아 스파이 독살 사건과 관련해 러시아 외교관 4명을 추방하고, 추가 외교관 3명의 입국을 거부했다.
트럼프가 향후 캐나다에 대한 입장을 바꾸지 않는다면, 오타와가 외교적 대응 강도를 높일 가능성이 있다.
*City뉴스의 글을 번역,편집한 것입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