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국 헌법재판소는 월요일, 한덕수 총리에 대한 탄핵을 기각하고 그를 국무총리 권한대행직으로 복귀시켰다.
한덕수 총리 탄핵 기각… 윤 대통령 탄핵과는 별개? 헌법재판소의 7대 1 판결은 일부 관찰자들에게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결과를 예측할 단서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평가됐다.
그러나 이번 판결이 윤 대통령의 지지층을 고무시키고, 야당에 대한 정치적 공세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은 크다.
한 총리는 복귀 후 기자회견에서 이번 판결을 "현명한 결정"이라고 평가하며 감사를 표했다.
12월 3일 계엄령 선포 후 한국의 혼란 윤 대통령은 지난 12월 3일, 국회와 서울 주요 지역에 군 병력을 배치하는 계엄령을 선포했다.
이후 12월 14일, 국회는 윤 대통령이 의회 활동을 억압하고 정치인을 구금하려 했다는 이유로 탄핵 소추안을 가결했다.
한 총리는 권한대행 기간 동안 외교적 신뢰를 회복하고 경제 안정을 도모하려 했으나,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를 도왔다는 혐의와 헌법재판소 판사 임명 과정에 개입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헌재, 7대 1로 탄핵 기각… 이유는? 현재 헌법재판소는 9명 정원 중 8명의 판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번 판결에서 7명이 한 총리의 탄핵을 기각, 1명이 찬성했다.
재판부는 ① 한 총리에 대한 혐의가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거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언제 결론 날까? 당초 헌법재판소는 3월 중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을 내릴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 Center for a New American Security의 수석 분석가 두연 김은 "오늘의 판결은 윤 대통령 지지자들에게 희망을, 반대자들에게는 불안을 줄 것"이라면서도 "한덕수 총리 사건과 윤 대통령 사건은 구체적인 혐의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 장담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그는 한 총리가 복직함으로써 정치적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국론 분열과 윤 대통령의 운명 윤 대통령의 탄핵을 둘러싸고 찬반 집회가 서울을 비롯한 주요 도시에서 계속 열리고 있다.
윤 대통령은 계엄령 선포가 야당의 정치적 방해와 자신의 개혁 정책을 막기 위한 탄핵 공세에 대한 대응이었다고 주장한다.
군 관계자들은 윤 대통령이 국회 본회의 투표를 막기 위해 군을 동원해 의원들을 체포하도록 지시했다고 주장했으며, 이에 대해 윤 대통령 측은 "군대는 단순히 질서 유지를 위한 것이었다"고 해명했다.
윤 대통령 탄핵 결과에 따른 시나리오
한편, 윤 대통령은 계엄령 선포와 관련해 반란 혐의로도 별도 기소된 상태다.
*CTV뉴스의 글을 번역,편집한 것입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