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시 한 번 고율 관세를 카드로 꺼내 들며 북미 자동차 산업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캐나다에서 생산을 유지하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일부 관세에서 면제받을 가능성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캐나다, 미국 관세 대응... 생산 유지 시 면제 가능 프랑수아-필립 샴페인 연방 재무장관은 최근, 캐나다-미국-멕시코 협정(CUSMA) 기준을 충족하는 차량에 한해, 캐나다가 부과한 상계 관세를 면제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단, 캐나다 내 생산이나 투자가 줄어들면 면제 수량도 제한될 수 있다는 조건이 붙는다.
북미 자동차 산업, 긴밀한 통합 구조 마크 카니 총리는 퀘벡 유세 중 "북미, 특히 캐나다-미국 자동차 산업은 세계에서 가장 통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며, 트럼프의 관세가 이 통합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자동차 산업은 차량 한 대가 국경을 수차례 넘나들며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관세는 곧 차량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의 관세: 면제도 있지만 여전히 불안 요소 트럼프 대통령은 4월 3일,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했지만, CUSMA 기준을 충족하는 차량은 일부 면제할 수 있도록 했다.
캐나다 역시 미국에 맞대응 관세를 부과한 상황이며, 미국 부품에 대한 추가 관세는 5월 3일까지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시행 시점은 유동적인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반응은 엇갈려 보수당 대표 피에르 푸알리에브르는 트럼프의 조치를 "캐나다에 대한 부당한 겨냥"이라고 비판했고, NDP 대표 재그밋 싱은 "캐나다는 관세 철회를 위해 싸워야 하며, 국내 자동차 산업을 보호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동차 업체들, 현재까지는 ‘변경 없다’ 혼다 캐나다는 “온타리오주 앨리스턴 공장을 최대 가동률로 유지하며, 생산 조정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포드·GM·스텔란티스 등 디트로이트 3사도 여전히 트럼프 행정부와 로비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트럼프는 “일부 유예 조치를 통해 생산시설 이전 시간을 벌 수 있다”고 말한 만큼, 기업들은 상황을 예의주시 중이다.
캐나다 정부의 대응: 관세 유예·지원책 발표 캐나다 정부는 무역 분쟁으로 피해를 입는 기업을 위해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6개월간 관세 유예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해당 유예는 식음료 포장, 제조, 의료·공공 안전 물품에까지 적용될 예정이다.
또한, 3월부터 시행된 대기업 대상 관세 대출 프로그램도 신청 접수 중이다.
캐나다 국민들, 미국보다 더 큰 우려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인들의 관세에 대한 우려 수준이 미국보다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다시금 북미 경제의 민감한 줄을 건드리고 있다. 하지만 캐나다 정부는 신속한 대응책과 관세 유예 조치로 피해 최소화에 나서고 있으며, 국내 생산을 유지하는 업체들은 일정 수준 보호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자동차 산업처럼 국경을 넘나드는 복잡한 생산 구조에서는, 정치적 결정 하나가 경제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다시금 느끼게 한다. 앞으로의 협상 결과에 따라 캐나다 자동차 산업의 방향성도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City뉴스의 글을 번역,편집한 것입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