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부천시가 시민에게 체계적인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공간정보통합플랫폼 및 생활지리정보맵 서비스를 운영한다.
부천시는 노후화된 공간정보시스템을 전면 개선하고, 공간정보 데이터를 통합 정비한 `공간정보통합플랫폼`을 구축했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해당 플랫폼은 기존 7종의 개별 시스템인 지리정보시스템(GIS) 인트라넷, 도시기반시설물관리시스템, 지하시설물도통합관리시스템, 토지분야공공정보공유포털 등을 하나로 통합한 것이다.
이에 따라 노후화된 운영환경이 개선되고 공간정보 자료의 정합성이 높아졌다. 또한 실시간 자료 갱신 체계를 도입해 공간정보 활용도도 한층 강화됐다.
나아가 시는 부서별로 분산 관리하던 공간정보를 `나만의 지도` 기능을 통해 손쉽게 등록ㆍ관리ㆍ공유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이에 더해 13종의 행정시스템(▲부동산종합공부 ▲건축행정 ▲도로명주소 등)과 연계해 통합 행정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도록 했으며, 새올행정시스템과도 연계해 세분된 인구통계와 모든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결합한 공간분석 기능도 구축했다.
아울러 실생활에서 모바일 등을 통해 각종 공간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는 `부천 생활지리정보맵` 서비스도 시작했다.
해당 서비스는 공간정보통합플랫폼 내에 포함된 서비스로, 시민 생활과 밀접한 정보를 지도 기반으로 시각화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든 생활 밀착형 공간정보 플랫폼이다.
▲각종 지도 정보 ▲토지정보 ▲인구통계 ▲생활편의 ▲문화관광 ▲일자리 정보 등은 물론이고, 12개년도 항공사진을 지도 위에 구현해 도시변화와 지역 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해당 서비스는 시 홈페이지 `부천소개` 메뉴, 시 생활지리정보맵, 큐알(QR) 코드 접속 등을 통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특히 QR 코드를 스캔한 뒤 휴대전화나 태블릿 홈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추가하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시 도시국 토지정보과 공간정보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부천시 관계자는 "공간정보통합플랫폼과 생활지리정보맵을 통해 정확하고 신속한 행정처리와 시민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서비스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정확하고 체계적인 공간정보 관리를 통해 시민에게 더 나은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