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우편노동자를 대표하는 캐나다 포스트 노조(CUPW)는 일요일, 캐나다 포스트(Canada Post)가 제안한 초과근무 금지 조치 연장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노조는 이날 오전 9시 30분, 오타와 외곽에서 중재자들과 만나 협상안의 개념과 세부사항을 제시했으며, 이후 이 자료를 캐나다 포스트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CUPW는 성명을 통해 “오후 12시 50분, 고용주 측이 서류를 검토하기 위해 자리를 떠났으며, 며칠 내로 답변을 받을 수 있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캐나다 포스트가 가능한 한 빠르게 연락을 다시 취해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주말 동안 열린 첫 공식 협상이었으며, 현재 전국적으로 시행 중인 초과근무 금지 조치로 인해 우편물 배송 지연이 우려되는 가운데 진행됐다.
교착 상태 장기화... 정부 개입 가능성도 캐나다 포스트와 노조는 수개월째 새로운 단체협약 체결을 위한 협상에서 교착 상태를 이어오고 있다. 캐나다 포스트는 지난 수요일, 임금 인상과 파트타임 인력 배치 계획이 포함된 최신 제안을 노조에 전달했다.
하지만 CUPW는 이메일 성명을 통해 회사 측이 일시 중지 제안을 거부했다며 비판했다.
노조는 협상단이 700페이지에 달하는 법적 조항을 며칠 안에 검토해야 하는 부담을 떠안게 됐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협상이 원활히 진행되지 않는 주된 이유는 캐나다 포스트의 완강한 태도와 비효율적인 시간 관리에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말 이어졌던 연말 파업 사태 이후, 정부 중재에 따라 양측이 체결한 임시 합의는 지난 목요일 종료된 상태이다.
초과근무 중단... 전국 파업 전초전 CUPW는 이번 주 초, 72시간 파업 예고를 발표했으며, 이에 따라 조합원들은 금요일 아침부터 파업에 돌입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노조는 최신 제안을 검토하는 동안 전국적인 초과근무 금지 조치를 선제적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조합원들에게 보낸 공지문에서, 회사 측 제안이 “임금과 기타 주요 협상 의제에서 크게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사실상 파산’ 진단받은 캐나다 포스트 한편, 캐나다 포스트는 이번 제안이 회사 재정 상황을 고려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해명했다.
최근 연방정부가 설립한 산업조사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포스트는 사실상 “파산 상태”로 평가됐으며, 이에 따라 근본적인 구조 개편이 필요하다는 권고가 내려졌다.
보고서에는 ▲일일 택배 배송 시스템 점진적 폐지, ▲우편 배달 경로를 유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동적 배송’ 시스템 도입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City뉴스의 글을 번역,편집한 것입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