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캐나다의 7월 소비자물가상승률(CPI)이 1.7%로 둔화됐다. 이는 6월 1.9%에서 소폭 하락한 것으로, 주로 국제 유가 하락과 주유소 가격 인하가 원인이었다.
통계청(StatCan)은 유가가 전년 동기 대비 16.1% 떨어졌다고 밝혔다. 이러한 하락은 올해 초 소비자 탄소세 폐지, 산유국들의 생산량 확대, 그리고 이스라엘·이란 간 휴전 합의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유가는 전월 대비로도 0.7% 하락했다.
그러나 생활 필수품 가격은 여전히 오름세를 보였다. 식료품 물가는 6월 2.8%에서 7월 3.4%로 급등했으며, 특히 제과류(11.8%)와 커피(28.6%)가 상승을 주도했다. 이는 코코아와 원두 생산국의 재배 환경 악화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또한 신선 과일 가격도 3.9% 오르며 가계 부담을 키웠다.
주거 비용 역시 상승세를 이어갔다. 주택 가격은 3% 오르며 5개월 만에 반등했고, 임대료는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 특히 큰 폭으로 올랐다. 다만,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은 전반적인 주거비 압박을 다소 완화했다.
한편, 캐나다 중앙은행이 주로 참고하는 근원 물가상승률은 약 3% 수준을 유지했다. 중앙은행은 오는 9월 17일 기준금리(현행 2.75%) 결정을 앞두고 이번 물가 동향을 면밀히 검토할 예정다.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금리 vs 물가상승률
*CP24의 글을 번역,편집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