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토론토 광역권(GTA)의 통근자들은 올가을부터 교통 체증이 한층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주요 기업과 공공 부문이 사무실 출근일을 늘리면서 도로와 대중교통 모두 압박을 받을 전망이다.
BMO, RBC, TD, 스코샤은행 등 캐나다 주요 은행들은 가을부터 주 4일 출근제를 의무화하기로 했으며, 일부 기업은 내년 초 주 5일 출근으로 전환한다. 온타리오 주 정부 또한 오는 10월부터 공무원의 사무실 복귀를 단계적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이미 토론토 교통은 포화 상태에 가깝다. 전직 토론토 수석 도시계획관 제니퍼 키스마트는 “대중교통 이용률이 줄고 자가용 의존이 커진 상황에서 이번 조치는 통근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며 “도로 용량이 한계에 다다른 도시에서는 소폭의 차량 증가만으로도 체증이 악화된다”고 경고했다.
토론토 지역 상공회의소의 자일스 거슨 회장도 “지난 20년 동안 차량이 백만 대 이상 늘면서 체증이 더욱 심각해졌다”며, 제한된 간선도로, 여름철 도로 점유(주차·자전거도로·테라스 공간) 등이 문제를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중교통 역시 불안 요인이 있다. 토론토 교통위원회(TTC)는 가을 수요 증가에 맞춰 운행 횟수를 늘리겠다고 밝혔지만, 안전 문제와 서비스 저하로 인해 신뢰 회복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키스마트는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 홍보와 서비스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며 “이미 자동 열차 제어 등 인프라는 구축돼 있지만 최대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전망은 엇갈린다. 토론토대 도시대학원장 캐런 채플은 “일부 기업이 하이브리드 근무를 단속하더라도 도심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며 “교통 체증이 당장 악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거슨 회장은 “사무실 복귀로 도심 상권은 회복의 기회를 맞겠지만, 교통 혼잡이 통제 불능 상태가 되지 않도록 시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통근 비율은 2025년 5월 기준 82.6%로, 팬데믹 최저치였던 2021년 75.7%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교통 정책과 대중교통 개선 여부가 토론토의 경쟁력에 직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City뉴스의 글을 번역,편집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