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시작페이지로
Toronto
+16...+20° C
로그인 회원가입 회원찾기 미니홈업체
회원로그인 회원로그인
정치
1,503
IT.과학
504
사회
683
경제
2,955
세계
328
생활.문화
301
연예가소식
775
전문가칼럼
445
HOT뉴스
3,299
더보기
현재접속자
MissyCanada   캐나다 뉴스   세계   상세보기  
세계 게시판입니다.
신고하기
제목  유승민, IOC 선수위원 당선… 문대성 이어 한국인 2호 2016-08-20 11:57:07
작성인
 유준상 기자 카카오톡 공유버튼
조회 : 503   추천: 75
Email
 Lostem_bass@naver.com


[아유경제=유준상 기자] 2004년 아테네 올림픽 탁구 금메달리스트 유승민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선수위원에 이름을 올렸다.
19일 오전(한국 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선수촌 내 프레스룸에서 발표된 선수위원 투표 결과에서 유승민(34ㆍ삼성생명 코치)은 후보자 23명 중 2위를 차지하며 IOC 선수위원으로 선출됐다.
이 자리에서 펜싱 브리타 하이데만(독일)가 1위를 차지했으며, 3위는 수영 다니엘 지우르타(헝가리), 4위는 육상 장대높이뛰기 옐레나 이신바예바(러시아)가 차지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때 신설된 IOC 선수위원 선출을 위한 투표권은 올림픽 참가 선수에게 주어지는 것으로, 지난달(7월) 24일부터 17일 자정까지 이번 올림픽에 참가한 전체 선수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하계 종목 8명, 동계 종목 4명 등 총 12명의 선수위원을 선출하는데, 이번 투표에서는 상위 4명까지 IOC 위원 자격이 주어진다. IOC 선수위원은 동ㆍ하계올림픽 개최지 투표 등 IOC 위원과 똑같은 권리와 의무를 지니며, 임기는 8년이다.
한편 유승민의 IOC 선수위원 당선은 한국인 중 두 번째로, 아테네 올림픽 태권도 금메달리스트 문대성이 2008년 처음 선출된바 있다. 이로써 한국은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의 영향력을 이전과 비슷한 수준에서 이어 나갈 수 있게 됐다.
다만 IOC 선수위원을 꿈꾸던 `피겨 여왕` 김연아는 이번 유승민의 당선으로 투표를 통한 선출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IOC가 나라별로 1명의 위원만 인정하는데, 유승민의 임기가 2024년까지라 이때까지 다른 한국 선수는 입후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IOC 선수위원 자격이 당해 연도 올림픽과 직전 올림픽 참가 선수에게만 주어지는 탓에 현역에서 은퇴한 김연아의 입후보 자격은 2018년 평창 올림픽이 마지막인데, 유승민의 당선으로 이 기회마저 사라졌다. 설령 그녀가 2018년 대회 때 `깜짝 복귀`를 한다고 해도 그 다음 대회가 2022년 베이징 올림픽이라 이때에도 역시 후보 자격이 주어지지 않는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추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