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한 기사에서, 2025년 캐나다 부동산 시장의 위험 요소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공유해 봅니다.
어떤 분들에게는 익숙한 내용들 일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눈에 들어오게 정리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겠습니다.
1. 계속되는 분양콘도의 클로징 어려움. : 올해 역대급 콘도 클로징이 예상되어 있는데, 아직도 콘도시장은 하락세로 분양 받을 때의 가치보다 많이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렌트시장, 더욱 많아지는 공급에도 불구하고 줄어드는 수요. : 계속해서 시장에 나오는 콘도유닛과 달리, 유학생과 이민자의 감소 등으로 수요는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3. 작은 콘도일수록 잘 팔리지 않는, 계속되는 재고 증가. : 그나마 단독주택시장은 나은데, 콘도시장에서 특히 작은 콘도일수록 시장에 오래 체류하면서 재고량이 더욱 상승하고 있습니다.
4. 생각처럼 안 떨어지는 이자율. : 변동금리는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지만, 고정금리는 굉장히 큰 변동성을 보이면서 올랐다 내렸다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우려되는 미국의 관세정책에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변동금리의 추가 하락도 점점 불투명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5. 더욱 가중되고 있는 경제 역풍. : 미국의 관세정책에 대한 영향은 물론, 건설업을 비롯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실업률이 상승하고 있는 경제 불황은 한치 앞을 예측하기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위의 내용들 중에서 대부분의 이슈들을 제가 한 두번씩 설명을 드렸습니다만, 미국의 관세에 대해서는 부동산 시장과의 연관성이 직접적이기 않기에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한 고객님이 미국이 캐나다에 25%의 관세를 먹이면, 왜 집값이 오르냐고 물어보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어디서 그런 얘기를 들었냐고, 왜 그렇다고 하냐고 반문했더니… 관세로 건축자재들이 올라서 주택가격도 오른다고 신문기사에서 보셨다고 합니다.
순간 어이가 없었습니다. 25% 관세가 주택가격을 떨어뜨리면 떨어뜨리지… 어떻게 올린다는 것인지 너무 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구요.
그래서 다음 유튜브 영상에서는, 미국의 25% 관세 적용이 주택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무엇보다 건강한 한 주 되시길 소망합니다.???? 감사합니다.
#토론토부동산 #25%관세 #미국 #캐나다 #분양콘도 #클로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