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시작페이지로
Toronto
+16...+20° C
로그인 회원가입 회원찾기 미니홈업체
회원로그인 회원로그인
정치
1,503
IT.과학
504
사회
683
경제
2,955
세계
328
생활.문화
301
연예가소식
775
전문가칼럼
445
HOT뉴스
3,299
더보기
현재접속자
MissyCanada   캐나다 뉴스   세계   상세보기  
세계 게시판입니다.
신고하기
제목  ‘분자기계’ 발명한 3인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 2016-10-07 07:00:52
작성인
 유준상 기자 카카오톡 공유버튼
조회 : 387   추천: 98
Email
 Lostem_bass@naver.com


[아유경제=유준상 기자] 올해 노벨 화학상은 눈에 보이지 않는 `분자`들을 마치 일상의 기계처럼 원하는 대로 설계하고 움직이게 한 유럽 출신 과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지난 5일 스웨덴왕립과학원은 장 피에르 소바주(72) 프랑스 스트라스버그대 교수와 프레이저 스토다트(74)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 베르나르트 페링가(65) 네덜란드 그로닝겐대 교수 등 3명을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각각 프랑스와 영국, 네덜란드 출신이다.
이들의 공통 연구 분야는 `초분자화학`으로, 초분자란 물질을 이루는 기본 단위인 분자를 여러 개 모아 특별한 구조나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도록 만든 인위적인 구조물이다. 전체 크기가 10나노미터(10억 분의 1m)보다도 작은 게 특징이다.
이 초분자를 가장 먼저 만든 주인공은 소바주 교수다. 1983년 반지 두 개를 체인처럼 서로 끼워 빠지지 않도록 만들어 `카테네인`이라는 이름을 붙여 주목을 받았다. 학계는 이에 대해 자연에 없는 분자 구조를 인간이 설계하고 구현해 냈다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스토다트 교수는 한발 더 나아가 초분자를 원하는 대로 움직이게 한 주인공이다. 1991년 막대 모양 분자에 고리 모양 분자를 끼우고 외부 자극을 줘 고리가 막대 위에서 왔다 갔다 하게 만들었고 이 초분자는 `로텍세인`이라고 명명됐다. 이 역시 자연계에 없는 분자 구조의 움직임을 화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학계는 평가하고 있다.
페링가 교수는 이를 더 발전시켰다. 엘리베이터처럼 신호에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는 초분자, 근육처럼 접혔다 펴졌다 하는 초분자 등을 발명한 것이다. 거시 세계의 기계 장치를 분자 수준에서 구현하겠다는 화학자들의 꿈이 현실화한 것이라고 학계는 평가한다.
노벨위원회는 "이들은 `분자기계`의 디자인과 합성에 기여했다. 기계를 소형화해 화학을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켰다"고 평가한 뒤 "`분자기계`는 머리카락보다 1000배나 더 가늘어 신물질, 센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을 개발하는 데 이용될 수 있어 전망이 밝다"고 밝혔다.
한편 수상자들은 총액 8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0억2520만 원)의 상금을 1/3씩 나눠 받는다. 시상식은 오는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추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