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ㆍ
|
 |
1,505
|
 |
|
|
|
ㆍ
|
 |
518
|
 |
|
|
|
ㆍ
|
 |
684
|
 |
|
|
|
ㆍ
|
 |
2,994
|
 |
|
|
|
ㆍ
|
 |
328
|
 |
|
|
|
ㆍ
|
 |
301
|
 |
|
|
|
ㆍ
|
 |
789
|
 |
|
|
|
ㆍ
|
 |
453
|
 |
|
|
|
ㆍ
|
 |
3,368
|
 |
|
|
|
|
|
|
|
|
 |
|
|
현재접속자 명 |
 |
|
|
|
|
 |
|
 |
 |
정치 게시판입니다. |
제목 |
靑, 홍종학 여론동향 주시…정의당은 ‘일단 인정’ |
2017-11-04 23:40:29 |
작성인 |
유준상 기자 |
 |
|
|
조회 : 448 추천: 106 |
|
청와대가 편법 증여 논란 등에 휩싸인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정면돌파` 입장을 이어갈 분위기다.
청와대 관계자는 2일 `홍 후보자에 대한 청와대 입장이 그대로인가`라는 기자들의 물음에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본인에 대한 입장을 잘 설명하고, 그 결과를 지켜본다는 게 청와대 입장"이라고 말했다.
홍 후보자를 고수하되, 여론동향을 지속적으로 주시하겠다는 뜻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지난달 31일 홍 후보자의 `쪼개기 증여` 논란과 관련 "쪼개기라고 이야기하지만 국세청 홈페이지에는 그 방법이 가장 합법적 절세 방법이라고 소개까지 돼 있다"고 적극 옹호한 바 있다.
또 홍 후보자가 과거 특수목적고(특목고) 폐지 주장을 해놓고는 자신의 딸은 재학생 대부분을 특목고로 보내는 국제중학교에 입학시킨 것과 관련 "홍 후보자 주장은 제도적으로 고치자는 얘기"라고 말했었다.
청와대는 홍 후보자가 도덕적 부분에서는 비난 받을 수 있겠지만, 법적인 면에서는 하자가 없고, 지난 대선캠프에 몸담았던 만큼 현 정부 국정방향을 잘 이해하고 있는 인사라 그를 쉽게 내칠 수 없단 입장이다.
더군다나 만약 이번에도 홍 후보자가 낙마하게 된다면 새정부 1기 조각 완료가 또다시 지체되는 것은 물론, 새정부 출범 이래 낙마한 차관급 이상 인물이 8명으로 늘어나게 된다.
그중에서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만 박성진 전 후보자에 이어 2명이 되는데, 이는 문재인 대통령이 새정부 출범시 신설한 중소벤처기업부에 초반부터 큰 흠집이 생기는 것이기도 하다.
아울러 역대 전ㆍ현직 국회의원들의 무난한 청문회 통과가 이뤄지면서 정치권 안팎에 통용되는 원칙이었던 `국회의원 불패신화`도 깨진다.
청와대의 적극적인 옹호에도 불구하고 홍 후보자에 대한 논란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홍 후보자 부인과 딸 소유 건물의 임대차계약서가 갑질계약이라는 문제가 지적됐고, 박지원 전 국민의당 대표는 이날(2일) 홍 후보자 부인이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에 자리를 요구했다는 의혹을 언급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홍 후보자의 갑질계약 논란에 관해서는 이날 오전 청와대 회의에서 해당 보도가 문 대통령에게도 보고가 됐으나, 관련해 문 대통령의 특별한 언급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데스노트`를 펼칠지 눈길을 모았던 정의당이 일단 청문회까진 홍 후보자를 인정하고 가는 것으로 가닥을 잡은 분위기다.
정의당은 새정부 인사들 중 박기영 과학기술혁신본부장과 안경환 법무부 장관ㆍ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ㆍ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사퇴요구를 했고, 이들은 모두 자진사퇴했다.
이 때문에 정의당이 찍은 인사들은 낙마한다는 데스노트론이 퍼졌다.
정의당 관계자는 이날 모 언론사와의 통화에서 "오늘 오전 당 지도부의 상무위원회 비공개 회의에서 홍 후보자에 대한 여론동향과 의견교환이 있었다"며 "홍 후보자가 도덕적 하자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임명을 반대할만한 `치명적 결격사유`일지는 좀 더 따져봐야 할 문제라고 정리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홍 후보자가) 법은 완벽하게 지켰더라"고도 덧붙였다.
이와 함께 노회찬 원내대표도 전날(1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 지난달 31일 의원총회에서 홍 후보자는 청문회를 지켜보며 신중하게 판단하자`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전하기도 했다.
또 노 원내대표는 홍 후보자가 19대 국회의원일 당시, 세대를 생략하는 상속ㆍ증여세의 할증률을 현행 30%에서 50%로 늘리자는 법안을 냈었지만, 현 야당이 반대했었다며 지적을 하기도 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